SR센터

아카이브

통계자료, 언론보도 등 관련 소식 및 자료를 공유합니다.

환경자료2024년 서울도시금속회수센터(SR센터)가 한 일!

2025-01-20

발행일자 : 2025년 01월 17일

발  행  자 : 서울도시금속회수센터

자료주제 : 2024년도 서울도시금속회수센터(SR센터) 주요 실적



2️⃣0️⃣2️⃣4️⃣ 서울도시금속회수센터가 한 일!





2️⃣0️⃣2️⃣4️⃣ 서울도시금속회수센터

♻️폐전기전자제품 자원 재활용♻️


지난해 SR센터로 들어와 자원으로 재활용된 폐전기전자제품은 약 3,440톤!
4,000톤이 넘는 전자폐기물의 86%를 고철, 알루미늄 등 자원으로 다시 만들어냈다는 거~!

나머지 14% 가량도 전문 업체로 보내져 고형원료 등으로 재활용됩니다.
그냥 버리는 건 없다는 말씀!

센터가 처음 열린 2009년 12월부터 2024년 말까지 처리한 전기전자제품은 50,027톤입니다.

많긴 많은 것 같은데 가늠이 안 가시죠?!
서울의 랜드마크 중 하나, 광화문을 자상하게 지켜주시는 세종대왕님을 아실텐데요.
그 세종대왕 동상 무게가 약 20톤이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SR센터는 세종대왕 동상 2,500개 가량에 해당하는 폐전기전자제품을 처리한 셈입니다.

일자리 또한 이와 비례하게 계속해서 만들어 왔습니다.
올해 서울도시금속회수센터에는 57명의 전자폐기물 전문가들이 함께 합니다.

쓰레기로 일 내는 곳, #SR센터
2025년에도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





2️⃣0️⃣2️⃣4️⃣ 서울도시금속회수센터
♻️폐전기전자제품 자원 재활용♻️


2025년 트렌드 키워드 중 하나가 '기후감수성(Need for Climate Sensitivity)인데요.
기후위기에 대한 단순 관심을 넘어 적극적인 선택과 행동을 위해 능동적으로 노력하는 태도를 뜻합니다.
내가 선택하는 제품, 서비스가 기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고려해서 소비를 결정한다는 것이죠.

센터로 들어오는 전자쓰레기의 양은 2022년도에 잠시 하락세를 보였지만 다시금 늘어나고 있습니다.
올해는 전기전자제품 소비에 대해서도 기후감수성이 영향을 미칠까요?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제품을 구매하는 것도 좋지만, 가장 적극적인 대응은 '다시 쓰기'라는 생각이 듭니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다시 쓰기 위해서 2025년도에 센터는
고치는 방법, 오래 쓰는 방법, 그리고 잘 버리는 방법까지 자주 공유해보려 합니다.
함께 해주세요!

쓰레기 감수성 보유자, #SR센터
2025년에도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





 2️⃣0️⃣2️⃣4️⃣ 서울도시금속회수센터
♻️봉제원단폐기물 집하장 운영♻️ 

지난해 7월부터 모인 자투리 원단은 모두 1,078톤!

생활폐기물과 함께 버려져 소각되거나 매립되던 봉제 원단 폐기물은 이제 SR센터를 거쳐 고형연료(SRF) 등으로 재활용됩니다.

서울시는 분리수거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종량제 봉투에 섞여 버려졌던 봉제 원단의 쓰레기 소각장과 매립지 반입을 금지하고 분리수거를 유도했는데요.
재활용을 활성화해서 내년부터 시행되는 <수도권 지역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를 대비하기 위함입니다.

SR센터와 함께 하는 자치구는 세 곳!
💚광진구 🩷노원구 🤍마포구
다른 자치구 중 16개 구에서도 봉제 원단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해 개별적으로 재활용 업체와 계약해 처리하고 있습니다.

올해도 서울시는 생활폐기물에 섞여 버려지는 일이 없도록 자치구와 협력해 봉제 원단 폐기물 배출처를 추가 발굴할 예정인데요.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 집하장 크기도 늘릴 예정입니다.
공간이 늘어나면 다른 16개 자치구에서도 비상 시에 SR센터 집하장을 사용할 수 있을 거예요!

쓰레기 수집 장인, #SR센터
2025년에도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





2️⃣0️⃣2️⃣4️⃣ 서울도시금속회수센터
♻️폐따릉이 자원화♻️


SR센터는 폐전기전자제품 재활용이 주사업인 자원순환 시설이지만, 서울시 공공기관에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CCTV, 신호등과 같은 불용품도 처리하고 있다는 거 아시죠?!

지난해 SR센터에는 3,570kg에 달하는 '폐따릉이'가 들어왔습니다.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작년 1월 기준 45,000대가 운영되고 있는데요.
그 중 점검 결과에 따라 폐기 대상으로 분류된 것들이 SR센터로 온 겁니다.

분리되어 들어와 정확하지 않지만 약 224대 정도의 양,
무더웠던 지난 여름, 센터 직원들이 한 땀, 한 땀 분해하고 분류한 결과
82%가 고철,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 자원으로 재탄생하게 되었죠!

앞으로는 작정하고 뜯어 볼 예정입니다!
2025년도부터 본격적으로 폐따릉이를 처리할 거그드녀.
분리되지 않은 온전한 형태의 따릉이에서는 어떤 자원이 더 나올까요?
줍줍하는 기록들 커밍쑨입니다~!

쓰레기 없는 쓰레기장, #SR센터
2025년에도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





2️⃣0️⃣2️⃣4️⃣ 서울도시금속회수센터
♻️회수 애로 품목 취합♻️


지난해 15개 제로웨이스트숍과 함께 모은 폐전선 등이 무려 866kg!

제로웨이스트숍은 10kg 내외로 모일 때마다 SR센터로 보내고, 센터는 가치있게 재활용했습니다.
배송료를 지원하기도 했죠.

<선도주자 시즌2 - 전선 수거 캠페인>은 폐전선, 멀티탭, 휴대전화 등 흔히 사용하는 것들 중 어떻게 버려야 할지 난감한 것들을 모아서 재활용하는 사업입니다.
무심코 일반쓰레기로 버리게 되는 유선이어폰 같은 것들 말이죠.

물론, 모아뒀다가 폐가전과 함께 배출해야 하지만 계속 쌓아두기에 어려움이 있잖아요?!

2026년부터는 재활용 의무 대상이 모든 품목으로 확대된다는 소식 기억하실텐데요.
위와 같은 '회수 애로 품목'도 내년부터는 고민 없이 SR센터로 보낼 수 있습니다.
그전까지 전선 수거 캠페인은 계속됩니다!

쓰레기 재활용 선도주자, #SR센터
2025년에도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





2️⃣0️⃣2️⃣4️⃣ 서울도시금속회수센터
♻️환경캠페인♻️


지난 한 해 SR센터와 만나 전자폐기물을 중심으로 환경 이야기를 나눈 분들은 329명!

쓰레기에 대한 궁금증을 타고타고, 전자쓰레기까지 질문을 이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2024년에도 센터는 네 가지 프로그램을 추진했습니다.
🌏방문교육
🌏체험교육
🌏전문가 과정
🌏온라인 환경캠페인

특히, 키보드 분해 & 키캡 자석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을 많이들 좋아해주셨어요.
그.래.서. 마.침.내. F.I.N.A.L.L.Y!
올해는 여러 분들이 제안해주신 아이디어를 토대로 🔜 키캡 키링 만들기를 포함해 체험교육 선택지를 늘려나갈 예정입니다.

<온라인 환경캠페인>은 전자쓰레기에 대해 알아보고, 퀴즈 풀고, 우리동네 배출방법 탐색하고, SNS에 홍보하고, ... 짧고 긴 여정을 완주하신 분들께 자원봉사 인증 시간을 부여하는 프로그램이였죠.
근데 이제 '메타버스'를 곁들인,,,★
프로필 링크를 통해 지금 접속해 볼 수 있습니다.
└ 
bit.ly/online-srcenter

2025년도에는 직접 나가서 만나뵙는 걸 목표하고 있습니다.
SR센터의 활동이 시민들에게 더 가까이 체감되도록...!
계획하고 있는 사업 보따리는 조만간 슬슬 풀어보겠습니다~

쓰레기 보러 또간집, #SR센터
2025년에도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